감가상각(3)
-
유형자산 - 감가상각 관련 설명
① 정액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일정액의 감가상각액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② 감가상각의 주목적은 취득원가의 배분에 있다. ③ 감가상각비는 손익계산서의 당기 비용인 판매비와관리비로만 회계처리 한다. *** 감가상각비는 다른 자산의 제조와 관련된 경우 관련자산의 제조원가로 계상한다.(일반기업회계기준 제10장 문단10.40) ④ 감가상각방법은 해당 자산으로부터 예상되는 미래 경제적효익의 소멸형태에 따라 선택하고, 소멸형태가 변하지 않는 한 매기 계속 적용한다.
2019.06.01 -
7-3. 유형자산 - 감가상각 - 연수합계법 및 3개 비교
연수합계법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잔여내용연수/내용연수의 합계 ** 내용연수의 합계 : n(n+1)/2 7-3. 연수합계법 ***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잔여내용연수/내용연수의 합계 내용연수가 4년인 자산의 내용연수 합게는 4+3+2+1=10년이 된다. 내용연수의 합계=n(n+1)/2로 계산된다. 즉 4년일 경우 4*5/2=10년 내용연수가 4년인 경우 2차 년도의 잔여내용연수는 3년이 된다. n=5일 때 n-2차 년도말 감가상각누계액 = (5+4+3/15) * (취득가액 - 잔존가치) ※ 시험에는 정액법/정율법/내용연수합계법이 모두 1차년도만 나온다 7-4. 정액법 : (취득가-잔존가) / 내용연수 *** 1차 : (10,000,000 - 1,000,000) / 5년 = 1..
2019.05.06 -
7-2. 유형자산 - 감가상각 - 정율법
정율법 : 장부가액(취득가액 - 기초감가상각누계액) * 상각율 7-2. 정율법 예_001] 20x1.1.1 차량취득, 취득가 10,000,000, 잔존가(=내용연수 경과후 처분시 받을 수 있을 것 같은 금액) 1,000,000 내용연수(=사용할 수 있는 기간) 5년 (1) 20x1.01.01 차량구입시 *** 차량운반구 10,000,000 | 현금 10,000,000 (2) 20x1.1.1 Business Sheet *** 차랑운반구 10,000,000 | (3) 20x1.12.31 감가상각, 상각율은 문제에서 주어진다. ㅇ 정율법 : (취득가 - 감가삭강누계액 = 장부가 = 미상각잔액) * 상각율 (10,000,000 - 0) * 0.45 = 4,500,000 감가상각비 4,500,000 | 감가상가누..
2019.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