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7. 3. 00:12ㆍ컴퓨터활용
2013년03월09일 기출문제
11. 다음 중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한 번의 연산 처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BIT
(2) BYTE
(3) WORD
(4) BPS
*** Bit : 0 또는 1을 기억할수 있는 저장공간
*** Byte : 8 Bit
*** Word : 컴퓨터에서 연산의 기본단위로 일반적으로 4Byte 입니다. (워드의 종류는 하프워드(2byte), 풀워드(4byte), 더블워드(8byte) 입니다.
*** BPS : Bit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전송되는 비트수를 말하며 전송속도 단위입니다.
2015년10월17일 기출문제
5. 다음 중 처리하는 데이터 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이브리드 컴퓨터
(2) 디지털 컴퓨터 (3) 슈퍼 컴퓨터
(4) 아날로그 컴퓨터
*** ③ 컴퓨터는 데이터 처리에 따라 아날로그 컴퓨터, 디지털 컴퓨터, 하이브리드 컴퓨터로 구분할 수 있다.
<참고 정리>
목적에 따라 범용, 전용으로 구분하며, 능력(성능)에 따라 슈퍼 컴퓨터, 대형 컴퓨터, 메인 컴퓨터, 미니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개인용 컴퓨터로 구분할 수 있다
2016년06월25일 기출문제
12. 다음 중 4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보 단위는?
(1) Character
(2) Nibble
(3) Word
(4) Octet
*** * 자료 표현의 단위 (작은 것부터 큰 순으로)
Bit(0과 1 중에 하나만을 기억) - Nibble(4bit) - Byte(8bit) - Word(4Byte / Half Word-2Byte / Double Word-8Byte) - Field - Record - File - Database
* Bit : 자료(정보) 표현의 최소의 단위
* Word :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양)
2016년10월22일 기출문제
9.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자료 표현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트(Bit)는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이며, 8Bit가 모여 니블(Nibble)이 된다
(2) 워드(Word)는 바이트 모임으로 하프 워드, 풀 워드, 더블 워드로 분류된다.
(3) 필드(Field)는 자료 처리의 최소 단위이며, 여러 개의 필드가 모여 레코드(Record)가 된다
(4)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레코드 모임인 파일(File)들의 집합을 말한다
*** 정보표현단위 : bit - nibble(4비트) - byte(8비트) - 워드 - 필드 - 레코드 - 파일
*** 1. 비트(Bit)는 0과 1 중에서 하나만 기억하는 2진수의 자료 표현의 최소 단위이며, 이러한 비트가 4개가 모이면 니블(Nibble)이 된다.
*** 2. 워드(Word)는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이며, 풀 워드는 4바이트이며 하프 워드는 절반인 2바이트, 더블 워드는 2배인 8바이트가 된다.
*** 3. 필드(Field)는 파일 구성의 최소의 단위이다. 레코드는 필드의 집합이다.
*** 4.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파일의 집합이다.
*** (크기) (작음) Bit - Nibble - Byte - Word - Field - Record - File - Database (큼)
2017년03월04일 기출문제
1. 다음 중 오디오 데이터와 관련된 용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퀀싱(Sequencing) (2) 인터레이싱(Interlacing)
(3) PCM(Pulse Code Modulation)
(4) 샘플링(Sampling)
*** 인터레이싱[interlacing]
화면이 재생(refresh)되어야 하는 자료전송률(data rate)을 줄이기 위해 CRT 화면에 사용되는 기술.
이렇게 함으로써 화면의 재생률(refresh rate)을 높이지 않고서도 세로 방향의 해상도를 두 배로 할 수 있다.
인터레이싱 : 그림파일을 이미지의 대략적인 모습을 보여준 후 점차 자세한 모습을 보여줌
시퀀싱 : 음을 입력해서 편집하고, 음표를 그려넣는 등 전반적인 작/편곡 작업을 하고 악기의 볼륨/패닝 조절을 하고 이펙트를 넣는 등 어느정도의 기본적인 믹싱작업까지의 모든 과정
PCM방식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음성신호와 텔레비전 등의 영상 정보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섬세하게 분할하여 그 하나 하나를 1이나 0으로 부호화 하여 전송ㆍ녹음하고, 수신할 때나 재생할 때에는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고쳐서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
샘플링(Sampling)은 Published (저작권을 갖춰 CD나 Tape의 물리적으로 판매 또는 배포되는) 음원의 부분적인 일부를 추출하거나 지구 상의 모든 소리를 녹음하여 편집에 끼워넣어 사용하는 것
<오답 피하기>
시퀀싱:오디오 파일이나 여러 연주, 악기 소리 등을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녹음하는 방법으로 음의 수정이나 리듬 변형 등의 여러 편집 작업이 가능
PCM: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펄스로 변환하여 작업한 후 이를 다시 본래의 아날로그 신호로 환원시키는 방식
샘플링:기존에 녹음되어 있는 연주 등을 샘플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오디오 시퀀싱의 대표적인 방식
컴퓨터에서 각종 명령을 처리하는 기본단위는 워드(Word)입니다.
[추가 해설]
- 1Byte는 8bit로 구성됩니다. (1Byte = 8Bit)
- 영문자나 숫자는 1Byte로 한 글자를 표현하고 한글, 한자, 특수 문자는 2Byte로 한 글자를 표현합니다.
- 1Byte는 256가지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8Bit 이니 2의 8승 = 256)
※ 워드 (Word)
- 컴퓨터에서 각종 명령을 처리하는 기본단위
-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컴퓨터 내부의 명령 처리 단위
- Half Word : 2Byte
- Full Word : 4Byte
- Double Word : 8Byte
2019년03월02일 기출문제
7. 다음 중 컴퓨터에서 문자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BCDIC
(2) Unicode
(3) ASCII (4) Parity bit
*** 에러 검출 코드 : 패리티 체크 비트- 에러 검출을 목적으로 원래의 데이터에 추가되는 1비트
*** 문자 표현 코드 : BCD코드,ASCII코드,EBCDIC코드,Unicode
'컴퓨터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매크로 대화상자 (1) | 2019.07.03 |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일반 - 컴퓨터의 시스템 클록 속도 단위, GB(기가바이트), 워드(Word)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차트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셀 참조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피벗테이블 (0) |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