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7. 3. 00:09ㆍ컴퓨터활용
2013년03월09일 기출문제
38. 아래 시트를 이용하여 차트를 작성할 때 데이터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는 차트는 어느 것인가?
(1) 세로 막대 그래프
(2) 꺾은선형 그래프
(3) 원형 차트
(4) 도넛형 차트
*** 원형 차트는 계열값이 하나일때 사용 가능한 차트 입니다. 원형차트는 전체 항목의 합계에 대한 항목의 비율을 나타낼때 쓰입니다. 예를 들면 선거때 주로 쓰이더군요.
*** 원형 차트는 계열값이 하나일 때 사용 가능한 차트이며, 도넛형 차트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도넛형 차트는 원형 차트와 비교하면 고작 구멍이 크게 뚫린 것 뿐이지만, 실제로는 이 도넛형 차트 역시 계열값이 하나 이상일 때도 정확한 데이터를 보여줍니다.
2013년06월22일 기출문제
29. 다음 중 아래 그림과 같이 [변경전] 차트를 [변경후] 차트로 수정하였을 때 변경된 내용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최소값을 10000으로 변경하였다
(2) 세로 (값) 축 주 눈금선을 없앴다 (3) 가로 축 교차 축 값을 100000으로 설정하였다.
(4) 데이터 레이블 '값'이 추가되었다.
*** 위 차트는 세로 축 값이 ‘선형’이 아닌 ‘급수’ 형태이므로 ‘가로축 교차’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최소값을 10,000으로 설정한 것 임. 또 [축 서식] 바로 가기 메뉴를 실행하여 [축 옵션]에서 '가로 축 교차'를 10000 으로 설정할 경우 가로축 레이블(1사분기, 2사분기, 3사분기, 4사분기)을 기준으로 축이 구분된다
2013년06월22일 기출문제
39. 다음 중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각 항목의 변화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차트는?
(1) 원형 (2) 꺾은선형 (3) 영역형 (4) 가로 막대형
*** *1번의 <원형 차트>는 전체에 대한 각 값의 기여도를 나타내어 줍니다.
*** *3번의 <영역형 차트>는 시간에 대한 여러 데이터 세트의 차이점을 나타내어 줍니다.
*** *4번의 <가로 막대형 차트>는 여러 데이터 값을 잘 알아볼 수 있도록 나타내어 주는 기능을 합니다.
*** 흐름에 따른 각 항목의 변화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차트는 <꺾은선형 차트> 입니다. 예를 들어서 1년간 우리 학교에 들어온 전학생 수 등 이런 것들을 할 때 적합하게 쓸 수 있습니다
2013년10월19일 기출문제
36. 다음 중 전체 항목의 합에 대한 각 항목의 비율을 나타 내기에 적합한 차트는?
(1) 혼합형 차트 (2) 원형 차트 (3) 방사형 차트 (4) 영역형 차트
*** 혼합형 차트 : 두 개 이상의 데이터 계열이 포함되어 있는 차트에서 특정계열의 차트를 다르게 표시
*** 방사형 차트 : 많은 데이터 계열의 합계 값을 비교할 때
*** 영역형 차트 : 일정한 시간에 따라 데이터 변화추세를 표시.
*** 원형차트 암기 사항: 비율을 표현, 축이 없다, 한계열만 작성-->도넛형 차트, 데이터 표 불가능
2013년10월19일 기출문제
37.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계열이 중심점에서 외곽선으로 나오는 축을 갖는다
(2) 여러 데이터 계열의 집계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3) 같은 계열에 있는 모든 값들이 선으로 연결되며, 각 계열마다 축을 갖는다 (4) 두 데이터 계열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는데 유용하다
*** 위 그림은 방사형 차트입니다. 4번 설명은 표면형 차트에 해당됩니다.
*** 표면형 차트-->두 데이터 계열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는데 유용함
2014년03월08일 기출문제
36.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형 차트 :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을 때 사용한다 (2) 방사형 차트 : 분산형 차트의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된다
(3) 분산형 차트 : 데이터의 불규칙한 간격이나 묶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과학이나 공학용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다
(4) 이중 축 차트 : 특정 데이터 계열의 값이 다른 데이터 계열의 값과 현저하게 차이가 날 경우나 두 가지 이상의 데이터 계열을 가진 차트에 사용한다.
*** 2. 거품형 : 분산형 차트의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함
*** 방사형 : 많은 데이터 계열의 집합적인 값을 나타낼 때 사용, 또한 방사형은 3차원차트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2014년06월28일 기출문제
36. 다음 중 추세선을 사용할 수 있는 차트 종류는?
(1) 3차원 묶은 세로 막대형 차트
(2) 분산형 차트
(3) 방사형 차트
(4) 표면형 차트
*** 추세선은 2차원차트에만 가능하며, 2차원 차트일지라도 원에 가까운 원형, 도넛, 방사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또 표면형 차트에도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리하면 3차원 차트, 원형, 도넛, 방사형, 표면형 차트는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 3차원 불가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 혼합 불가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3차원
*** 추세선 불가 : 도넛형, 방사형, 3차원, 원형, 표면형
2014년06월28일 기출문제
38. 다음 중 차트에서 계열의 순서를 변경할 때 선택해야 할 바로가기 메뉴는?
(1) 차트 이동
(2) 데이터 선택
(3) 차트 영역 서식
(4) 그림 영역 서식
*** 차트도구의 디자인탭에 있는 데이터선택 대화상자에서는 차트 데이터의 범위, 계열(범례)의 편집, 가로항목의 편집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2014년10월18일 기출문제
33. 다음 중 차트의 범례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에 범례가 표시되어 있으면 개별 범례 항목을 선택하여 데이터 계열 서식을 변경할 수 있다
(2) 차트에서 범례 또는 범례 항목을 클릭한 후 <Delete>키를 누르면 범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3) 범례는 기본적으로 차트와 겹치지 않게 표시된다. 2014년10월18일 기출문제 (4) 마우스로 범례를 이동하거나 크기를 변경하면 그림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자동으로 조정된다
*** 마우스로 범례를 이동하거나 크기를 변경하면 그림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자동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2015년03월07일 기출문제
27. 다음 중 아래의 <수정 전> 차트를 <수정 후> 차트와 같이 변경하려고 할 때 사용해야 할 서식은?
(1) 차트 영역 서식
(2) 그림 영역 서식
(3) 데이터 계열 서식
(4) 축 서식
*** 탭에서 '계열 겹치기' 값을 음수로 입력하거나 막대바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2015년06월27일 기출문제
39. 다음 중 아래의 차트와 같이 데이터를 선으로 표시하여 데이터 계열의 총 값을 비교하고, 상호 관계를 살펴 보고자 할 때 사용하는 차트 종류는?
(1) 도넛형 차트
(2) 방사형 차트
(3) 분산형 차트
(4) 주식형 차트
*** 방사형 차트 : 데이터를 선으로 표시하여 데이터 계열의 총합을 비교하고, 상호관계를 살펴보고자 할때 사용하는 차트이다
2015년10월17일 기출문제
36. 다음 중 3차원 차트로 변경이 가능한 차트 유형은? (3)
(1)
(2)
(3)
(4)
*** ③ 2차원 차트만 가능하고 3차원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 ① 도넛형 ② 분산형 ③ 영역형 ④ 주식형
<참고 정리>
3차원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혼합형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3차원
추세선이 불가능한 차트 : 원형, 도넛, 방사형, 표면형, 3차원
2015년10월17일 기출문제 / 2016년06월25일 기출문제
39. 37.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워크시트의 행과 열에서 숨겨진 데이터는 차트에 표시되지 않는다.
(2) 차트 제목, 가로/세로 축 제목, 범례, 그림 영역 등은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이동할 수 있다 (3)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차트 크기를 조절하면 차트의 크기가 셀에 맞춰 조절된다
(4)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차트 종류를 차트 서식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 3.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차트 크기를 조절하면 차트의 크기가 셀에 맞춰 조절된다.
*** <Alt> 키를 누르고 크기를 조절한다면 각 요소들은 시트 셀의 외곽에 맞추어 크기 조절된다. 또, <Shift> 키를 누르고 크기 변경하면 가로/세로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도형이나 차트의 크기를 변경한다.
*** 따라서, <Ctrl> 키로는 셀에 차트를 밀착시킬 수 없다. 잘못 된 보기이다
2016년03월05일 기출문제
38. 다음 중 아래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의 종류는 묶은 세로 막대형으로 계열 옵션의 ‘계열 겹치기’가 적용되었다
(2)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는 주 눈금과 보조 눈금이 ‘안쪽’으로 표시되도록 설정되었다
(3) 데이터 계열로 ‘남’과 ‘여’가 사용되고 있다 (4) 표 전체 영역을 데이터 원본으로 차트를 작성하였다
*** 차트를 보시면 '합계'항목이 2가지가 있습니다.
1). 남 & 여 에 관한 합계
2). 각 반(1반,2반,3반,4반)에 대한 합계
차트에서는 남과 여에 대한 전체의 합계 항목은 있지만 각 반에 대한 합계가 없습니다
2016년03월05일 기출문제
40. 다음 중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추세선을 표시할 수 있는 차트는? (4)
(1)
(2)
(3)
(4)
*** 1. 방사형 (추세선X)
*** 2. 원형 (추세선X)
*** 3. 도넛형 (추세선X)
*** 4. 거품형 (추세선O)
2차원 차트만 가능하고 3차원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3차원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혼합형이 불가능한 차트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3차원
추세선이 불가능한 차트 : 원형, 도넛, 방사형, 표면형, 3차원
2016년06월25일 기출문제
33. 다음 중 도넛형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체에 대한 각 데이터 계열의 관계를 보여주며, 하나의 고리에 여러 데이터 계열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2) 도넛의 바깥쪽에 위치한 데이터 계열의 모든 조각을 한 번에 분리하거나 개별적으로 조각을 선택하여 분리 할 수도 있다
(3) [데이터 계열 서식] 대화상자의 [계열 옵션]에서 첫째 조각의 위치를 지정하는 회전 각을 변경할 수 있다
(4) 데이터 계열이 많아 알아보기가 쉽지 않은 경우 누적 세로 막대형 차트나 누적 가로 막대형 차트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 도넛형 차트
1. 원형 차트처럼 전체에 대한 부분의 관계를 보여주지만 하나 이상의 데이터 계열을포함할 수 있음.
2. 각 원은 하나의 데이터 계열을 나타냄.
각 원에 하나의 데이터계열에대한 여러개의 데이터레이블간의 관계를 나타냄
각각의 원을 겹쳐서 여러 개의 원으로 여러 데이터계열 구분표시할수있음
도넛형 차트 : 전체에 대한 데이터 관계를 알 수 있음, 하나의 고리에 하나의 데이터 계열만 ! (여러개 ×)
도넛형 차트 : 전체 합계에 대한 각 항목의 구성 비율을 표시함.
1. 전체에 대한 각 데이터 계열의 관계를 보여주는 차트는 영역형 차트임
2016년06월25일 기출문제
40.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주 눈금선 표시는 ‘바깥쪽’, 보조 눈금 표시는 ‘안쪽’으로 설정하였다
(2)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주 단위 간격을 ‘5’로 설정하였다. (3) 데이터 계열 서식의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였다
(4) 윤곽기호를 이용하여 워크시트와 차트에 수준 3의 정보 행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였다
*** 3. 데이터 계열 서식의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큰 값(양수)로 입력하면 국어와 영어(계열)의 막대가 겹쳐지고,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값(음수)로 입력하면 국어와 영어(계열)의 막대 간의 간격이 넓어진다.
*** 1. 주 눈금선 표시는 '바깥쪽'으로 설정되어 가로로 긴 선이 y축(세로-값축)을 기준으로 차트 바깥쪽(숫자)쪽으로 나와 있다.
*** 보조 눈금 표시는 '안쪽'으로 설정되어 y축(세로-값축)을 기준으로 차트 안쪽(막대)쪽으로 들어와 있다.
*** 2. 세로 (값) 축의 주 단위 간격은 최솟값 70, 최댓값 95로 5 단위로 설정되어져 있다.
*** 4. 윤곽 기호를 이용하여 숨겨진 데이터는 차트에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숨겨진 데이터를 차트에 반영하려면 숨기기 취소를 먼저 한 후에 차트를 작성하여야 한다
2016년10월22일 기출문제
28. 다음 중 차트에서 계열의 순서를 변경할 때 선택해야 할 바로 가기 메뉴는?
(1) 차트 이동
(2) 데이터 선택
(3) 차트 영역 서식
(4) 그림 영역 서식
*** 차트에서 계열의 순서를 변경할 때는 [데이터 원본 선택]대화상자의 '범례 항목(계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차트에서 [바로가기 메뉴] - [데이터 선택]으로 들어가거나 [차트 도구] - [디자인]탭 - [데이터]그룹 - [데이터 선택]으로 들어갈 수 있다
2016년10월22일 기출문제
30.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워크시트의 행과 열에서 숨겨진 데이터는 차트에 표시되지 않으며 빈 셀은 간격으로 표시된다
(2) 표에서 특정 셀 한 개를 선택하여 차트를 생성하면 해당 셀을 직접 둘러싸는 표의 데이터 영역이 모두 차트에 표시된다 (3) 차트를 만들 데이터를 선택한 후 <Alt>+<F1>키를 누르면 별도의 차트 시트가 생성된다
(4) 차트에 두 개 이상의 차트 종류를 사용하여 혼합형 차트를 만들 수도 있다
*** 3. 차트를 만들 데이터를 선택한 후 <Alt>+<F1>키를 누르면 '워크시트에 차트가 생성된다.'
*** - 차트 시트가 생성되려면 <F11>키를 눌러야 한다
2016년10월22일 기출문제
31. 다음 중 아래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계열이 중심점에서 외곽선으로 나오는 축을 갖는다
(2) 여러 데이터 계열의 집계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3) 같은 계열에 있는 모든 값들이 선으로 연결되며, 각 계열마다 축을 갖는다 (4) 여러 데이터 계열에 있는 숫자 값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거나 두 개의 숫자 그룹을 xy 좌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열로 표시한다
*** ④ 방사형 차트는 기본 세로 축(Y)만 존재한다
*** ※ 방사형 차트는 많은 데이터 계열의 집계 값을 비교할 때 사용되며, 같은 계열의 값은 모두 선으로 연결된다.
*** 문제의 차트는 방사형 차트이며 보기
*** 1. 데이터 계열이 중심점에서 외곽선으로 나오는 축을 갖는다.
*** 2. 여러 데이터 계열의 집계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 3. 같은 계열에 있는 모든 값들이 선으로 연결되며, 각 계열마다 축을 갖는다.
내용은 방사형 차트의 설명입니다.
*** 4. 여러 데이터 계열에 있는 숫자 값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거나 두 개의 숫자 그룹을 xy 좌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열로 표시한다.는 분산형 차트 설명이다
2017년03월04일 기출문제
40. 다음 중 추세선을 추가할 수 있는 차트 종류는?
(1) 방사형
(2) 분산형
(3) 원형
(4) 표면형
*** 1. 방사형 : 여러 데이터 계열의 집계 값을 비교(중간지점에서 뻗어나가는 자체값에 축이 있음)
*** 2. 분산형 : 여러 데이터 계열에 있는 숫자 값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거나, 두 개의 숫자 그룹을 XY 좌표로 이루어진 하나의 계열로 표시(불규칙한 가격)
*** 3. 원형 : 항상 하나의 데이터 계열만 보여 주므로 데이터에서 중요한 요소를 강조할 때 축이없음(전체 항목에 대한 각 항목의비율(하나의 계열축이없음)
*** 4. 표면형 : 두 데이터 집합 간의 최적 조합을 찾을 때 유용
*** 추세선을 사용할 수 있는 차트 종류 : 비누적 2차원 영역형, 가로 막대형, 세로 막대형, 꺽은 선형, 주식형, 분산형, 거품형
2017년09월02일 기출문제
37. 다음 중 차트 편집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의 데이터 범위에서 일부 데이터를 차트에 표시하지 않으려면 행이나 열을 '숨기기'로 지정한다
(2) 3차원 차트는 혼합형 차트로 만들 수 없다.
(3) <F11>키를 눌러 차트 시트를 만들 수 있다 (4) 여러 데이터 계열을 선택하여 한 번에 차트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 4. 여러 데이터 계열을 선택하여 한 번에 차트 종류를 변경할 수 없다. 하나의 계열을 선택하여 차트 종류를 변경해야 한다
2017년09월02일 기출문제
38. 다음 중 차트의 데이터 계열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열 겹치기 수치를 양수로 지정하면 데이터 계열 사이가 벌어진다
(2) 차트에서 데이터 계열의 간격을 넓게 또는 좁게 지정할 수 있다
(3) 특정 데이터 계열의 값이 다른 데이터 계열의 값과 차이가 많이 나거나 데이터 형식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보조 세로(값) 축에 하나 이상의 데이터 계열을 나타낼 수 있다.
(4) 보조 축에 해당되는 데이터 계열을 구분하기 위하여 보조 축의 데이터 계열만 선택하여 차트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 차트 계열의 경우 계열 겹치기를 할 때 수치를 양수로 입력하면 데이터 계열 사이가 겹쳐집니다.
*** 수치를 음수로 지정하면 데이터 계열 사이가 벌어집니다.
2018년03월03일 기출문제
33. 다음 중 [차트 도구]-[레이아웃] 탭의 [레이블] 그룹에서 삽입할 수 없는 항목은?
(1) 범례
(2) 축 제목
(3) 차트 제목 (4) 텍스트 상자
*** [차트 도구] - [레이아웃] 탭의 [레이블] 그룹에서 삽입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 삽입할 수 있는 항목 : 축 제목, 차트 제목, 범례, 데이터 레이블, 데이터 표
*** 텍스트 상자는 [삽입] 탭의 텍스트 그룹에 있는 기능입니다.
*** 삽입 - 텍스트 - 텍스트 상자
2018년03월03일 기출문제
40.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형 차트는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을 때 사용한다 (2) 방사형 차트는 분산형 차트의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된다
(3) 분산형 차트는 데이터의 불규칙한 간격이나 묶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과학이나 공학용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다
(4) 이중 축 차트는 특정 데이터 계열의 값이 다른 데이터 계열의 값과 현저하게 차이가 나거나 데이터의 단위가 다른 경우 주로 사용한다.
*** 보기 2번은 거품형 차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 분산형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 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되는 차트가 거품형 차트입니다.
*** 방사형 차트는 많은 데이터 계열의 합계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각 항목마다 가운데 요소에서 뻗어나온 값 축을 갖고, 선은 같은 계열의 모든 값을 연결합니다. 또한 3차원 차트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2018년09월01일 기출문제
34. 다음 중 원형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 계열 요소의 값들을 '데이터 표'로 나타낼 수 있다
(2) 항상 한 개의 데이터 계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축이 없다
(3) 차트의 각 조각을 분리하거나, 첫째 조각의 각을 조정할 수 있다
(4) 전체 항목의 합에 대한 각 항목의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 원형 대 가로 막대형 : 주 원형에서 일부 값을 추출하여 누적 가로 막대형에 결합. 값 그룹을 강조할때 사용함.
*** 원형 차트는 차트 계열 요소들의 값들을 '데이터 표'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 원형 차트
- 전체에 대한 각 값의 기여도를 표시합니다.
- 항목의 값들이 합계의 비율로 표시되므로 중요한 요소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 항상 한 개의 데이터 계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축이 없습니다.
- 차트의 각 조각을 분리하거나, 첫째 조각의 각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차트 계열 요소의 값들을 '데이터 표'로 나타낼 수 없습니다.
한가지 더!
원형과 도넛형, 분산형(가로축의 값이 일정한 간격이 아닌 경우나 데이터요소간의 유사점을 표시하려는 경우에 쓰입니다.) 등과 같은 차트는 전체에 대한 부분비율이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에 데이터표 메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차트를 선택했을때 해당메뉴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2018년09월01일 기출문제
33. 다음 중 차트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에 표시되는 계열의 순서는 차트 생성 후에도 변경할 수 있다
(2) 데이터 계열 값으로 참조되는 셀 영역에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경우 차트에 표시되는 값에도 적용된다 (3) 사용자가 차트 요소에 지정한 서식은 해당 요소 선택 후 [홈]-[편집]-[지우기]-[서식 지우기]를 이용하여 원래 스타일로 되돌릴 수 있다
(4) 데이터 계열 값으로 참조되는 셀 영역에서 값을 변경하는 경우 차트에 표시되는 값도 함께 변경된다
*** 차트가 만들어 지고 해당 요소를 선택 후에는 [서식 지우기]는 활성화 자체가 안됩니다. [모두 지우기]와 [내용 지우기]만 활성화 됩니다
2019년03월02일 기출문제
39.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주 단위 간격을 '95'로 설정하였다
(2) 데이터 계열 서식의 '계열 겹치기' 값을 0보다 작은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다
(3) '영어'의 데이터 레이블은 안쪽 끝에 표시되고 있다.
(4) 가로 (항목) 축의 주 눈금선과 보조 눈금선이 함께 표시되고 있다
*** '계열 겹치기' 값은 반비례한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값이 작아질수록 사이가 벌어지고, 값이 커질수록 사이는 좁아집니다.
※ 차트에 대한 설명
- 범례의 위치는 위쪽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 세로 축 서식의 경우 최소값은 70이구요, 주 단위는 5이며, 최대값은 95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 데이터 레이블의 위치 (영어의 데이터 레이블 값 : 89, 83, 92, 88) 가 바깥쪽 끝에 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 차트의 기본 세로 눈금선에 대해서 주 눈금선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 차트의 계열 겹치기 값이 0보다 작은 음수 값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계열 겹치기의 경우 0보다
작은 값(음수)으로 설정하면 계열 사이가 벌어지며 0보다 큰 수를 입력하면 계열 사이가 더 좁아지면서 겹쳐집니다.
2019년03월02일 기출문제
40. 다음 중 차트의 범례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범례 위치는 [범례 서식] 대화상자나 [레이아웃]탭 [레이블] 그룹에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2) 차트에서 범례 또는 범례 항목을 클릭한 후 <Delete> 키를 누르면 범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범례의 위치는 차트의 다른 구성요소와 겹치지 않게 표시된다 (4) 마우스로 범례를 이동하거나 크기를 변경하면 그림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자동으로 조정된다
*** 마우스로 범례를 이동을 하거나 크기를 변경한다고 해서 차트의 그림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자동으로 조정되지 않구요, 범례서식을 이용을 하는 경우는 자동으로 조정이 됩니다. 범례 서식 - 범례 옵션 으로 가서 위치(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오른쪽 위) 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019년03월02일 기출문제
28. 다음 중 아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간 값을 비교하는 차트를 작성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차트는?
(1) 세로 막대형
(2) 꺾은선형 (3) 원형
(4) 방사형
*** 원형차트는 하나의 항목에 대한 각계열의 데이터를 종합하는데 위에 표를 보면 항목과 계열의 갯수가 많기에 원형으로 제작시에는 최소한 차트를 3개 이상 만들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입력되어 있는 표에서 1사분기부터 4사분기까의 데이터
값을 비교를 하는 차트를 만들 때 가장 무난하게 만들 수 있는
차트는 세로 막대형이겠구요. 가로 막대형, 세로 막대형, 꺾은선형, 방사형 등은
여러 계열 별로 값을 비교를 하는데 적합합니다.
원형 차트의 경우는 항상 한 개의 데이터 계열만을 가지고 있는
차트이고 한 계열에 대해서 데이터를 표시를 해주는 차트이기 때문에
각 데이터 간의 값을 비교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컴퓨터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활용능력2급 - 일반 - 컴퓨터의 시스템 클록 속도 단위, GB(기가바이트), 워드(Word) (0) | 2019.07.03 |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일반 - 데이터 단위, 형태, 오디오 데이터, 명령, 워드(Word)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셀 참조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피벗테이블 (0) | 2019.07.03 |
컴퓨터활용능력2급 - 스프레드시트 - 함수식 (0) | 2019.07.03 |